정보 이야기
인터넷 신조어 머가 있을까? 국립국어원 발표
드림월드
2014. 1. 15. 12:08
인터넷 신조어 머가 있을까? 국립국어원 발표
인터넷 신조어
인터넷을 하루에 5시간 이상 하는 저 또한 헷갈립니다.
거의 줄임말이기는 한데...
처음 들으면 역시 잘 모르겠네요^^;
인터넷 신조어가 꼭 좋은 현상인지
아닌지에 대한 판단은 내리기에는 제 지식이 얕지만
피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점에서는 공감합니다.
그럼 우리나라의 국어의 중심은
국립국어원에서는 어떠한 인터넷 신조어를 인정하고 발표했는지
확인해보실까요?
1. 안습 - 안구에 습기찬다
2. 갑톡튀 - 갑자기 톡 뛰어나옴
3. 쓸고퀼 - 쓸데 없는 고퀼리티
4. 갠소 - 개인소장
5. 솔까말 -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
6. 광클 - 광속으로 클릭
7. 병맛 - 병 걸린 것 같은 맛
8. 글설리 - 글쓴이를 설레이게 하는 리플
9. 버카충 - 버스카드 충전
10. 금사빠 - 금새 사랑에 빠지는 사람
11. 반모 - 반말모드
12. 넘사벽 - 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
13. 모솔 - 모태솔로
14. 닥본사 - 닥치고 본방송 사수
15. 답정너 - 답은 정해져 있고 너는 대답만 헤
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인터넷 신조어 확인하셨나요?
저는 대략 70%정도는 알겠습니다.
금사빠나 글설리 반모 등은 처음 들어보는 인터넷 신조어네요^^;
물론 이밖에서 인터넷상에서 쓰이는
신조어는 수십 수백가지가 넘을 것입니다.
이걸 우리나라의 언어문화가 발달했다고 봐야할지
뒤쳐진다고 봐야할지 모르겠지만
조금이라마 따라가려면 기본적인 인터넷 신조어는 아는게 좋지 않을까 하네요.